2025년 8월부터 바뀌는 정책 총정리 – 저소득층 지원부터 부동산까지
2025년 8월부터 우리의 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제도 변화가 시행됩니다. 특히 저소득층 가구, 청년, 무주택자, 서민층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들이 새롭게 적용되거나 확대되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생활지원·부동산·세금·복지제도 중심으로 핵심 내용을 정리해드립니다.
1. 저소득층 에너지바우처 상반기 이어 하반기 지급 확대
시행 시점: 2025년 8월 1일~
지원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 등 약 120만 가구
변경 내용: 기존 상반기 지급 외 하반기 에너지바우처 1회 추가 지급
신청 방법: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
지원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 등 약 120만 가구
변경 내용: 기존 상반기 지급 외 하반기 에너지바우처 1회 추가 지급
신청 방법: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
2. 청년 월세 특별지원 연장 및 대상 확대
시행 시점: 2025년 8월부터 연장
기존 지원 종료 → 2026년 6월까지 연장
대상 확대: 부모와 떨어져 사는 만 19~34세 청년 중 소득 하위 60% 이하까지 확대
지원 내용: 월 20만 원씩 최대 12개월 지원
기존 지원 종료 → 2026년 6월까지 연장
대상 확대: 부모와 떨어져 사는 만 19~34세 청년 중 소득 하위 60% 이하까지 확대
지원 내용: 월 20만 원씩 최대 12개월 지원
3. 무주택자 대상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확대 적용 시점: 2025년 8월 1일 이후 주택 취득자부터
대상: 무주택 세대주 /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
변경 내용: 기존 취득세 감면 한도 1억 5천만 원 → 2억 원으로 상향
1가구 1주택 요건 완화 (혼인 예정자도 가능)
4.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소득 기준 상향
시행 시점: 2025년 8월 신규 모집 공고부터 적용
변경 내용: 국민임대주택·행복주택 등 소득 기준 10% 상향
기존: 중위소득 50% 이하 → 60% 이하까지 신청 가능
신청 대상 확대: 청년·신혼부부·노인·한부모 가구 등
변경 내용: 국민임대주택·행복주택 등 소득 기준 10% 상향
기존: 중위소득 50% 이하 → 60% 이하까지 신청 가능
신청 대상 확대: 청년·신혼부부·노인·한부모 가구 등
5. 지방세 체납자 분할납부 기회 확대
시행 시점: 2025년 8월부터
내용: 기존 3회 분할 납부 → 최대 6회 분할 허용
대상: 100만 원 이하 소액 체납자
유의사항: 신청 시 사전 고지 필요 / 가산세는 면제되지 않음
내용: 기존 3회 분할 납부 → 최대 6회 분할 허용
대상: 100만 원 이하 소액 체납자
유의사항: 신청 시 사전 고지 필요 / 가산세는 면제되지 않음
마무리 정리
8월부터 달라지는 정책들은 대부분 저소득층과 무주택자, 청년, 서민층을 위한 실질적 지원 강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각 제도별 신청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미리 확인해두시고, 해당되는 혜택은 반드시 챙기시길 바랍니다!
'경제적자유를 위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세, 지방소득세 연체 시 가산세는 얼마일까? (2025년 기준) (14) | 2025.07.23 |
---|---|
2025년 기준 재산세 연체 시 가산세, 얼마나 붙을까? (5) | 2025.07.23 |
가계부 앱 추천 (10) | 2025.07.10 |
아이폰 액정 파손 시 보험 적용 가능할까? (24) | 2025.07.02 |
아이폰 배터리 교체, 휴대폰 보험 적용하기 (5)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