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부터 바뀌는 주요 정책 총정리 – 복지·부동산·세금 중심
2025년 8월부터 달라지는 주요 정책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이번 달에는 특히 저소득층 복지 확대, 부동산 거래 규제 완화, 세금 감면 등 서민·중산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제도 변화가 많습니다.
1. 저소득층 복지 정책 변화
✅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인상
- 1인 기준: 월 65만 원 → 72만 원 인상
- 대상: 실직·질병 등 위기 상황 발생 시
✅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선정기준 상향
- 중위소득 32% → 35% 확대
- 더 많은 저소득층이 생계급여 수급 가능
- 1인 기준: 월 65만 원 → 72만 원 인상
- 대상: 실직·질병 등 위기 상황 발생 시
✅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선정기준 상향
- 중위소득 32% → 35% 확대
- 더 많은 저소득층이 생계급여 수급 가능
2. 부동산 제도 변경
✅ 생애최초 주택 취득세 감면 대상 확대
- 수도권 3억 원 이하 → 4억 원 이하로 완화
- 만 39세 이하 단독세대주도 감면 대상 포함
✅ 1주택자 양도세 비과세 실거주 요건 단축
- 기존 2년 실거주 → 1년 실거주만으로 비과세 적용 가능 (2025.8.1 시행)
✅ 전월세 신고제 미신고 과태료 유예 종료
- 2025년 8월부터 미신고 시 최대 100만 원 과태료 부과
- 수도권 3억 원 이하 → 4억 원 이하로 완화
- 만 39세 이하 단독세대주도 감면 대상 포함
✅ 1주택자 양도세 비과세 실거주 요건 단축
- 기존 2년 실거주 → 1년 실거주만으로 비과세 적용 가능 (2025.8.1 시행)
✅ 전월세 신고제 미신고 과태료 유예 종료
- 2025년 8월부터 미신고 시 최대 100만 원 과태료 부과
3. 세금제도 변경 사항
✅ 근로·자녀장려금 확대
- 단독 가구 기준 최대 165만 원 → 190만 원
- 지급 대상 연령 기준도 완화 (만 19세 이상 → 만 18세 이상)
✅ 소득세 기본공제 인상
- 인당 공제액 150만 원 → 170만 원
- 연말정산 환급액 증가 예상
✅ 청년 월세 세액공제 확대
- 공제율 10% → 15%, 연 최대 300만 원까지 공제
- 단독 가구 기준 최대 165만 원 → 190만 원
- 지급 대상 연령 기준도 완화 (만 19세 이상 → 만 18세 이상)
✅ 소득세 기본공제 인상
- 인당 공제액 150만 원 → 170만 원
- 연말정산 환급액 증가 예상
✅ 청년 월세 세액공제 확대
- 공제율 10% → 15%, 연 최대 300만 원까지 공제
정책별 요약 표
정책 분야 | 주요 변경 내용 | 시행일 |
---|---|---|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 1인 가구 월 72만 원 인상 | 2025.08.01 |
주택 취득세 감면 | 수도권 3억 → 4억 이하 확대 | 2025.08.01 |
양도세 비과세 요건 | 실거주 2년 → 1년 완화 | 2025.08.01 |
전월세 신고 과태료 | 최대 100만 원 부과 시작 | 2025.08.01 |
근로·자녀장려금 | 최대 190만 원까지 인상 | 2025.08.01 |
'경제적자유를 위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무주택자 세금 혜택 총정리 – 꼭 알아야 할 절세 정보! (1) | 2025.07.29 |
---|---|
2025년 8월부터 바뀌는 정책 총정리 – 저소득층 지원부터 부동산까지 (6) | 2025.07.28 |
자동차세, 지방소득세 연체 시 가산세는 얼마일까? (2025년 기준) (14) | 2025.07.23 |
2025년 기준 재산세 연체 시 가산세, 얼마나 붙을까? (5) | 2025.07.23 |
가계부 앱 추천 (10) | 2025.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