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60세 이후, 일할 수 있나요? 노인을 위한 고용 보장 정책 총정리

by 사회복지학 2025. 5. 9.
반응형

노인고용노인고용노인고용

 

“퇴직은 했지만, 아직 건강하고 일할 수 있는데… 받아주는 곳이 없어요.”
주변 어르신들께 이런 말씀 자주 듣습니다.
노년기에도 경제적 자립과 사회적 소속감을 유지하고 싶은 분들을 위해
정부는 다양한 노인 고용 보장 정책을 운영하고 있어요.

오늘은 그중 일자리 지원, 고용 장려금, 재취업 교육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제도들을 정리해봤습니다.

 

왜 노인 고용 보장이 중요한가?

  • 고령화 사회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한국
  • 60세 이후에도 건강한 노년을 위해 소득 보장 + 사회 참여가 중요
  • 경제적 측면 외에도 고립 예방, 자존감 유지에 효과적
  • 정부는 이를 위해 고용지원제도를 확대하고 있음

노인고용노인고용노인고용




2025년 현재 주요 노인 고용 지원 제도

제도명내용대상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공공형·시장형 일자리 제공 만 60세 이상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퇴직 후 고용 연장 시 기업에 지원금 지급 만 60세 이상 근로자
고령자 적합직무 고용장려금 단순 업무 외 다양한 직무 제공 + 장려금 65세 이상
시니어 인턴십 사업 고령자 민간 채용 시 기업 지원 만 60세 이상 신규 취업자
고령자친화기업 지원 고령층이 다수인 기업에 정부 지원 전체 고령자 대상
 

👉 고용노동부 노인일자리 지원 안내

 

실생활 적용 예시

  • A씨(65세, 서울): 퇴직 후 시니어 인턴십으로 중소기업 재취업 → 정부에서 1년간 고용유지 지원금 지급
  • B씨(70세, 경북): 노인사회활동 공공일자리 참여 → 주 3일 근무, 월 30만 원 소득 + 사회 참여 만족도 ↑
  • C기업: 만 60세 정년 후 1년 추가 고용 → 고용노동부 장려금 수급

제도 신청 방법 & 꿀팁

  • 온라인 신청:
    👉  워크넷 노인일자리 포털
  •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노인종합복지관 방문 접수 가능
  • 정부24, 복지로,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도 연계 정보 제공

💡 신청은 조기에 마감될 수 있으므로 연초 또는 분기 초에 확인 추천!

 

혹시 우리 부모님 또는 나 자신이 새로운 일자리를 찾고 있다면,
이런 제도들을 먼저 알아보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재가노인복지서비스가 궁금하다면?

 

 

반응형